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권우상(權禹相) 칼럼 - 인간의 탐욕, 어디가 끝인가?

 

 

칼럼

 

 

                 인간의 탐욕, 어디가 끝인가?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요즘 최순실 사건을 보면 인간의 탐욕이 어디까지 인지 끝이 보이지 않는다. 인간의 무한한 탐욕은 과거에도 수 없이 있었고 현재도 진행형이다. 최근에 발생한 군납비리, 법조··관계 로비 사건 등도 그에 속한다. 그런데 이런 사건들의 내면을 들어다 보면 한 가지 공통된 점이 있다. 돈에 대한 탐욕이다. 이런 인간의 탐욕은 어디가 끝인지 알 수가 없다. 우리 속담에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쓰라는 말이 있다. 돈을 벌 때에는 궂은일을 가리지 말고 번 돈을 쓸 때에는 어엿하고 보람 있게 쓰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 속담에서 한 가지 우려되는 것은 개같이 벌어라는 대목이다. 이 말이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무한 욕망적 자본축적 궤도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원래 개는 학처럼 귀티가 나는 동물이 아니라 먹을 것이 있으면 오물 구덩이에도 들어가는 동물이다. 그런데 그런 개처럼 돈을 벌라고 했으니 어찌 보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돈을 벌라는 뉘앙스가 풍긴다.

 

 

 

이 속담이 생겨날 당시의 경제상황은 아마 못 먹고 헐벗은 상태가 아니었을까 싶다. 그래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불법이나 변칙은 용납이 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요즘 시대에 이 같은 불법이나 변칙은 용납될 수 없다. 하지만 요즘 우리가 처해 있는 상황을 보면 옛날로 돌아간 것 같다.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한 구조적 권력형 비리나 부패, 또는 생태 파괴적 이기주의 행동 등은 개같이 벌어서라는 천민자본주의적 발상에서 한발 짝도 벗어나지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쥐꼬리 만한 권력만 있어도 이를 이용하여 돈이나 이권을 챙기려하고 권력을 가진 자들은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치부하려 든다. 우리 사회에서 관료 출신 지도층이나 재벌이 존경을 받지 못한 이유도 바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치부를 한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일부 변호사들의 고액 수임료로 인한 형량 감면 모습에 많은 국민들은 허탈해진다. 법관 출신 변호사에 대한 전관예우 논란이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좀처럼 근절되지 않는 이유는 사회제도나 도덕으로는 인간의 무한한 탐욕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뇌물로 건네지는 돈은 한 가지 공통된 점이 있다. 주고 싶어서 주는 돈이 아니라 주는 만큼 이득을 챙길 수 있다는 것이다. 난마처럼 얽힌 사회 부조리는 돈과 엮이지 않는 것이 없다. 이 모두가 결과만을 중시하는 잘못된 사회풍토의 산물이고 돈이면 안 되는 것이 없다는 사고에서 싹을 틔운 천민적 발상이 사회적으로 용인돼 온 탓이 아닌가 싶다. 따라서 이 사회에서 돈이면 다 된다는 가치관이 사라지지 않는 한 부패의 고리는 끊을 수 없고, 부패의 고리를 그대로 달고서는 선진국 진입은 어림도 없는 소리이다.

 

 

 

우리가 살아가자면 돈은 꼭 필요하다. 그래서 돈을 벌려고 땀 흘려 열심히 일을 한다. 이처럼 돈은 살아가기 위해 필요 하지만 혼자 쌓아 놓고 숭배하는 대상은 아니다. 그렇다고 배척을 하라는 말도 아니다. 돈을 벌어도 합법적이며, 정당하게 일해서 벌어야 한다는 말이다. 돈은 고통스럽고 눈물겹게 벌어야 진정한 가치를 알게 된다. 돈은 유혹하는 마력이 강하여 누구나 쉽게 빠져든다. 하지만 돈에 빠져 탐닉한다면 그건 돈의 유용성을 모르는 행위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의 탐욕을 적절히 다스리는 일이야 말로 비리와 부패를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일이다. 어떤 나쁜 짓을 해도 무조건 돈을 벌자라고 하는 천민적 발상은 남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이런 생각은 개인도 망치고 나라도 망친다. 깨끗한 돈이 가치가 있고 이런 돈이 많이 축적될 때 사회는 건강해진다. 사회지도층이나 재벌들이 존경받지 못하는 사회는 불행하다. 무한축적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탐욕 속성에서 벗어나 정승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쓰려는자세가 개인은 몰론 국가를 아름답게 만들 수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