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7일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에 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하여 31일에서야 겨우 진화하였다. 건물 1만 8,000채 이상이 피해를 보고, 29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피해면적은 미국 ABC 추산 2만 3,000헥타르(ha)로, 경기도 면적(10,196ha)의 2배에 달한다. 우리나라도 산불피해는 예외가 아니다. 2022년 3월4일부터 3월13일까지 10일간 지속된 울진·삼척 산불로 16,301ha 산림이 피해를 입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거세게 번지는 산불에 삼척 LNG 공장까지 번지지는 않을지 전 국민이 걱정하였다. 전문가들은 전세계적으로 산불이 대형화되는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꼽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해 습한 계절은 더 습해지고, 건조한 계절은 더 건조해지는 식으로 기후변화가 발생했다고 말한다. 우리나라도 기상청이 발표한 ‘2023년 이상기후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장마철 강수일수가 22.1일로 평년 17.3일 대비 28% 증가했다. 강수량 역시 전국 660.2mm로 평년(365.7mm) 대비 85% 증가했다. 반면 겨울은 더 건조해졌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1990년대 겨울철(12, 1, 2월) 건조특보 발효일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