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왜 조조같은 놈이라고 하는가? 권우상 사주추명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자기보다 남이 잘 되는 걸 질투하거나 회사 내에서 자기보다 머리가 영리한 사람을 싫어하는 사장을 ‘조조 같은 놈’이라고 한다. 이 말의 유래는 이렇다. 한(漢)나라가 위(魏). 촉(蜀). 오(吳) 삼국으로 갈리면서 위왕 조조(曺操)와 촉왕 유비(劉備)가 싸움을 할려고 두 나라 군사가 영채를 세웠다. 그런데 양쪽 군사가 좀처럼 움직이지 않은 채 며칠이 흘렀다. 조조가 앞으로 나아가려고 보면 유비가 길을 막아 지키고, 군사를 거두어 돌아갈려고 보면 촉군이 비웃을까봐 자꾸만 머뭇거리면서 결단을 내릴 수 없었다. 마침 요리를 담당하는 부하가 닭국을 올렸다. 조조가 보니 사발 속에 닭갈비 ‘鷄肋 : 계륵’가 있어 마음속에 떠오르는 바가 있었다. 한참 말 없이 궁리하다가 장수 하후돈이 장막에 들어와 밤에 쓸 암호를 정해 달라고 조조에게 청했다. 암호를 ‘닭갈비’로 하후돈이 군사들에게 명령을 돌려 모두들 이날 밤 암호는 ‘닭갈비’라는 것을 알았다. 행군주부 양덕조(德祖)는 암호가 ‘닭갈비’란 말에 곧 자기의 병졸들에게 짐을 꾸리고 돌아갈 채비를 하게 했다. 누군가 하후돈에게 양덕조의 동태를 보고
칼럼 인생의 가장 큰 축복은 은혜를 안다는 것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어느 마을에 부자가 있었다. 그런데 집이 완공된 날 손님들을 초대해 잔치를 열었다. 부자는 집을 짓는데 참여한 목수, 미장 등 기술자들을 상석(上席)에 앉게 하고 자기의 자녀들은 하석(下席)에 앉도록 하였다. 손님들이 이상해 하자, 부자는 이렇게 말했다. “기술자들은 집을 지은 사람들이니까 윗자리에 앉는 것이 당연하고 앞으로 집을 팔아 먹을 자식은 아랫자리 앉는 것이 당연하지.” 이 말에서 우리는 물을 마실 때는 물이 흘러 온 곳을 생각하고, 은혜가 있으면 은혜를 갚아야만 더욱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갈량은 유비가 자신을 인정해 주는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서 유비의 아들 아두(阿斗)에게 목숨을 다하도록 정성껏 보필하였다. 진(晉)나라 문공(文公)은 19년간 자신을 따라서 전쟁터를 누벼온 개지추(介之椎)를 기념하기 위해서 특별히 한식(寒食)날을 제정하고, 그의 충정과 청렴함을 기렸다. 한신(韓信)은 자신이 어려울 때 빨래하는 여자에게 한끼 밥을 얻어 먹고 그 은혜를 갚기 위해 재상이 되자 고향으로 돌아가 특별히 그 여자에게 얻어
칼럼 탐욕하지 말고 항상 정직하게 살아야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워치타워 잡지 ‘깨어라’를 보면 탐욕이 없는 세상은 “인간의 의식 영역에 일대 혁명이 일어나지 않는 한, 인류에게 개선이란 있을 수 없으며, 현 세계가 치닫고 있는 대참사도 불가피한 일이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바츨라프 하펠, 체코 공화국 대통령. 많은 사람은 현 세계 질서가 오래 가지 못할 것임을 인정한다. 어떤 사람들은, 바츨라프 하펠처럼, 인간의 사고와 행동의 일대 변화를 유일한 해결책으로 본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최근의 세계 정세를 관망하고 나서 이렇게 말한다. “세계의 여러 나라들이 최근 동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단호한 조처를 취하지 않을 경우, 극히 가난한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식량과 그 밖의 생활 필수품이 공급될 전망은 전혀 나아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한다. 인간의 성격은 수천 가지 오묘(subtle)한 영향, 즉 본보기와 가르침, 친구와 이웃, 남을 대하는 태도 등은 인간이 살고 있는 세계와 좋은 언행을 물려 줄 선조의 정신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요인들이 인격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지만, 사람은 반드시 자기 자신의 참된 행복과 존
칼럼 과학은 모든 생명체에서 아이디를 얻는다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모든 생물은 자라고 움직이고 증식한다. 지구가 특별히 아름다운 것은 그러한 생물들 때문이다. 오늘날 인류는 그 어느 때보다 생명체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 성서에 따르면 생명은 창조주가 설계한 것이다. 생물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들은 작은 공장과 같아서 생명을 유지하고 증식하기 위해 엄청나게 복잡한 온갖 종류의 작업을 한다. 사실상 거의 모든 생명체가 그처럼 복잡한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세포 생물인 빵 효모균은 사람의 세포에 비하면 단순해 보이지만 사실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다. 효모균에는 잘 조직된 세포핵이 있고 그 안에 DNA가 있는데 이 균은 분자를 분류하고 운반하고 변형시키는 초소형 기계와 같은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과학자들은 인간의 세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수십 년 동안 효모균을 연구해 왔지만 아직도 과학자들이 모르는 것이 많다. 남극 해저 침전물에서 얻어 낸 화석화 된 꽃가루와 포자를 통해, 한 때는 남극에 야자나무가 자라고 열대림에 가까운 숲이 있었다는 사실이 최근에 밝혀져 세계인들에게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에 본부
자유민주주의 수호 범국민운동본부 및 대한민국 박대모 중앙회장 임예규씨는 국가와 사회를 위해 헌신해온 인물로, 그의 여정은 많은 이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고 있다. 그는 구국활동과 헌법 수호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자세로 국민의 행복을 위해 힘쓰고 있다. 이번 구미일보와의 인터뷰에서는 임 회장이 걸어온 길과 그의 신념에 대해 들어봤다. Q1. 임예규 회장님, 자유민주주의 수호 범국민운동본부와 대한민국 박대모의 설립 배경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의 민주주의와 법치가 무너지는 상황을 보면서, 이를 바로잡고자 하는 열망이 생겼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을 존경하고 사랑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대한민국 박대모는, 민주주의를 수호하고 헌법을 지키기 위한 활동을 지속해왔습니다." Q2: 회장님께서는 다양한 봉사활동과 정치 참여를 해오셨습니다. 그 과정에서 특별히 기억에 남는 경험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임예규: "2012년부터 상주보림요양원에서 봉사활동을 하며, 많은 어르신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분들의 지혜와 경험을 듣고, 우리 사회의 소중한 자산임을 깨달았습니다. 또한 독도 수호국민연합에서 활동하며, 독도에 대한 우리의 책임을 느꼈습니다
칼럼 세상에서 가장 어리석은 사람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19세기 전반의 미국 작가인 ‘리디아 시가니’는 우울한 사람들에 대해 이렇게 쓰고 있다. “슬픔은 영혼의 질병이기 때문이다. 확실히 인생은 싫은 일로 가득차 있다. 하지만 마음속으로 모든 사물을 가장 긍정적인 면에서 바라보고, 어떻게 될지 의심스러운 일이라도 잠재적으로 좋은 일을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 마음 자체에 강하고 끓임없는 해결 방법을 갖추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우울한 영혼은 불행을 더욱 더 깊게 만들지만 밝은 미소는 폭풍이 온다는 걸 알리는 안개까지도 말끔히 씻어내 주는 것이다. 불쾌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상대를 다루는 가장 단순하면서도 올바른 방법은 그들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이다. 당신에게는 우울한 사람과 함께 우울해 하거나 그 사람 곁에 붙어 있을 의무가 없다. 잔소리만 늘어 놓는 사람이나 자기에 대한 세상의 대우를 헐뜯는 사람과 함께 있기 보다는 행복한 듯한 얼굴을 한 사람이나 성공하여 인생을 즐기는데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과 어울리도록 하라는 설명이다. 물론 불행한 사람을 위로하거나 도와주는 것도 좋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특히 당신의 호의가 반복적
칼럼 인생은 늘 후회하며 사는 것 권우상 사주추명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어느 마을에 부부의 정이 깊어 한낮에도 자주 부부가 방에 들어가 흐뭇한 정을 나누곤 했다. 따뜻한 봄날, 남편이 점심을 먹고 한잠 자고 나자 춘정이 샘솟듯 하여 아내를 데리고 방으로 들어가 옷을 모두 벗기고 호뭇한 기분으로 누워 속살을 맞대고 즐겼다. 이때 부인도 대낮에 열정을 불태우니 도저히 억제할 수 없는 깊은 흥분에 사로잡혀 자신도 모르게 저절로 가느다란 신음 소리가 목구멍 안에서 흘러 나왔다. 두 사람은 어느새 안개 속을 헤매는 것 같은 혼돈 상태에서 한 몸이 되어 녹아내려 있었다. 그러는 동안 많은 시간이 흘러 저녁밥을 지을 때가 되었다. 밖에서 일하던 여종이 부부가 즐기는 소리를 듣고는 문밖에 서서 일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저녁밥 지을 쌀을 얼마나 해야 할지 물어 보려고 하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도무지 끝날 것 같은 기색이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저녁밥이 늦어져 야단맞을 것이 두려워 어쩔수 없이 낮은 목소리로 가만히 마나님을 불렀다. “마님! 죄송합니다. 저녁밥 쌀을 얼마나 할까요?“ 한창 꼭대기를 향해 숨가쁘게 달리고 있던 부인은 이와같은 여종의 물음에 자기의 황홀한 감정
칼럼 인간의 말은 침묵에서 침묵으로 돌아간다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벽암록’의 파초혜(破草鞋)란 오래 신어서 망가진 짚신을 뜻하는데 아무 소용도 없 된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원시인이 아니라면 사람에게는 신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세상을 살아가려면 공부를 해서 지식을 갖는 것도 필요하다. 그런데 이것이 필요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신발(shoes)이나 지식(learning)도 낡으면 쓸모 없어지지만 새 것도 때로는 소용이 없게 된다. 선(禪) 수행을 시작하는 초기에는 지식은 망가진 짚신과 같다. 인간이 참된 의미에서 알몸이 되어야 할 때는 아무리 높은 수준의 지식도, 아니 수준이 높은 지식일수록 오히려 망가진 짚신처럼 거추장스럽게 달라 붙은 장신구에 지나지 않는 때가 있다. 나이가 들어 인생의 진실을 알게 되면 망가진 짚신을 다시 주워 올린다. 옛날 스님들은 망가진 짚신을 다시 고쳐 신기도 하고 그대로 썩어 퇴비를 만들기도 했다. 사람은 짚신 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지식도 자기 마음의 밑거름으로 하거나 사람답게 살기위한 지혜를 얻는 수단으로 삼기도 한다. 14세기 고승 관산혜현(關山慧玄) 스님은 한평생 설법이나 문필에 관심을 두지 않고 ‘묵
칼럼 기억술은 많은 지식을 갖는데 필요하다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기억술은 고대부터 존재하고 있었다. 이미 그리스 시대에 히피아스니 시모니데스가 기억술을 가르쳤다. 시모니데스의 방법은 만찬회에서 당한 사고를 계기로 탄생된 것이라고 한다. 식사도중 건물이 무너져서 많은 사람들이 깔려 죽었다. 그 자리에 있다가 살아난 시모니데스는 모든 참석자의 이름을 기억해서 시체 확인에 공헌했다. 좌석의 상황을 생각하자 그곳에 참석했던 사람들을 떠올릴 수 있었다는 것이다. 시모니데스는 이런 생각을 발전시켜 “자리 배치법”이라는 기억술을 만들었다. 예를 들면 자기 집처럼 자신이 잘 알고 있는 건물을 연상한다. 그리고 각 방에 기억해야 할 대상을 놓았다고 상상하고 관련을 갖는다. 예를 들면 “현관으로 들어간 다음 거실로 들어 가고...”라는 순서에 따라서 그 곳에 배치한 대상을 떠올리는 방법이다. 유럽에서는 14∼16세기에 걸쳐 기억술이 유행해서 그때 많은 책이 저술되었다. 16세기 기억술을 중국에 전한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기억하고 싶은 것 하나 하나에 이미지를 부여해야 한다. 그리고 그 이미지 하나 하나에 기억에 의해 불려 나올
칼럼 경영전략, 고객이 원하는 것을 알아야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경영전략(business strategy, 經營戰略)은 경영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괄적인 수단으로, 환경적응의 기능을 가지며 경영전략은 내부전략과 외부전략으로 구분된다. 기업이 장차 당면할 전략적 문제나 전략적 기회를 발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런 점에서 안소프는 경영전략을 성장전략과 경쟁전략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경영전략은 각 부문의 경영활동을 전체로 총합하는 기능을 가지며 정보수집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결정 룰(규칙)이 되기도 한다. 고객 위주의 기업에서는 직원의 역할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고객 위주의 기업에 되려면 우선 최일선에 있는 직원들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달라져야 한다. 그런데 이 같은 변화가 직원들의 자발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는 것은 경영자의 수완과 능력에 달렸다고 할 수 있다. 직원들이 맡은 바 직무를 지혜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도록 노력하는 리더가 바로 경영자인 것이다. 경영자는 직원들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그 비전을 실천에 옮기도록 하기 위해 직원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에 귀를 기울어야 한다.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경영자가 무관심 하거
칼럼 뒷일 보다 오늘 일을 생각하며 살아야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대 그림자 섬돌을 쓸어도 티끌 하나 있지 않다(竹影掃階塵不動)”라고 하는 이 선어를 자세히 설명하면 대나무에 바람이 불어 그 그림자가 섬돌 위를 휩쓸고 지나가지만 그것은 그림자일 뿐이라 섬들의 티끌은 그대로인 채 일지 않는 가는 것이다. 이 글에 이어 “달이 연못 속을 비추지만 물에는 흔적이 없다(月芽潭低水無痕)”이다. 즉 달빛은 깊은 연못 밑바닥까지 비추지만 물이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는 구절이다. 이 모두가 집착없이 자기를 잊은 공(空)의 자유로운 행동을 잘 나타내고 있다. 어떤 일에도 얽매이지 않는 움직임 하나하나를 아름다운 풍경을 담아내고 있다. 「채근담」에서는 이런 생각을 다소 유교적인 방식으로 표현한다. 유가(儒家)에서도 말한다. “물이 급하게 흘러가도 주위는 조용하고, 꽃이 자주 떨어져도 내 마음은 조용하다.” 사람이 이런 마음을 잊지 않고 일에 대처하면 몸과 마음이 자유로울 수 있다. (吾儒云水流急境常靜 花落蜼頻息自問 人常此意以應事接物 身心河等自在) “대 그림자가 섬들을 쓸어도 티끌하나 일지 않는다”와 “물이 급히 흘러가도 주위는 조용하다.”는 말은 “달은 연못속을
칼럼 어려운 수학 물리, 교사는 미워하지 말자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천재들은 위대한 업적을 ‘집중’ 함으로써 탄생시켰다. 뉴턴은 페스트 균으로부터 도망하기 위해 고향 시골집에 있었던 18개월 동안 3대 발견 즉 만유인력, 미분, 적분법, 태양광선의 분해를 이룩해 냈다. 그의 나이는 23세 때였다. 두 번째 집중기는 40대로 역시 18개월 동안 저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통칭 ‘프린키피아’를 완성했다. 이 기간에는 식사도 잊을 정도로 집중했다고 한다. 수학자 가우스의 집중력도 유명하다. 그가 어떤 문제에 집중하고 있을 때 의사가 와서 부인이 위독하다고 알려 주었다. 가우스는 문제에서 눈길을 떼지 않고 대답했다. “조금만 기다리라고 해 주게. 조금만 있으면 해답이 니오네.” ‘페르마의 최후 정리’의 증명에 성공한 프린스대학의 앤드루 와일즈 교수는 자택의 3층에 있는 다락방 서재에 틀어박혀 세상과 접촉을 끊고 연구를 계속했다. 전화가 없는 것은 물론 자신의 목표와 관계가 없는 것에 대해서는 논문을 쓰는 것도, 학회에 참석하는 것도, 책을 읽는 것도 그만 두었다. 천재들은 기분 전환도 잘 한다. 뉴턴은 대학교정 안에 건물을 짓고 화학실험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