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건강ㆍ스포츠ㆍ취미

나은희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장, ‘간 섬유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확인

간 섬유화 위험인자 : 연령증가, 남성, 제2형 당뇨병, B형 간염 보균자, 간 기능 이상, 비만, 대사증후군

한국건강관리협회(회장 채종일) 나은희(건강증진연구소장/진단검사의학전문의)연구팀은 ‘한국의 일반인구집단에서 간 섬유화 유병률과 관련 위험인자(Prevalence of liver fibrosi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연구논문을 SCIE급 학술저널 「BMJ Open*」 최근호에 발표했다.

* BMJ Open : 의학 분야에 관한 연구 논문을 다루는 SCIE급 Open access 의학저널

 

이 연구는 간 자기공명탄성영상(MRE;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검사를 통해 측정한 지역사회 주민에서의 간 섬유화의 유병률과 분포를 조사하고, 간 섬유화의 위험요인을 파악한 것이다.

 

간 섬유화는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인 간경변의 이전 단계로,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간 섬유화를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간 섬유화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8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한국건강관리협회 13개 건강검진센터에서 간 자기공명탄성영상(MRE)검사를 포함한 건강검진을 받은 검진자 8,183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 간 섬유화 분포를 보면, 대상자 중 9.5%가 초기 간섬유화 이상(significant fibrosis, ≥2.90 kPa)이었다. 특히 이중 2.6%는 진행된 간섬유화(advanced fibrosis, ≥3.60 kPa)로 조사됐다.

 

또한 초기 간 섬유화(significant fibrosis)의 위험인자로는 연령증가, 남성, 제2형 당뇨병, B형 간염 보균자, 간 기능 이상, 비만, 대사증후군 등이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은희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현재 증상을 보이지 않는 지역사회 주민에서 10명 중 1명은 초기단계 이상의 간 섬유화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에서 간 섬유화의 진행 및 이와 관련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재 증상은 없지만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간 섬유화 스크리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