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우상 명작 중편소설 = 천강홍의장군 <11> 천강홍의장군 그후 2년이 지나자 곽재우 장군의 의병은 3천여 명에 달했습니다. 이렇게 짧은 기간에 많은 의병을 모을 수 있었던 것은 임금은 허약하고 조정 대신들은 붕당정치로 싸움만 하면서 나라의 정세가 어지러운 데다가 백성들의 삶이 곤궁해졌기 때문이었습니다. 1592년(선조25년) 4월 13일 오후 5시, 일본의 20만 병력은 모두 9개 부대로 나누어 조선 침략을 개시했습니다. 20만 대군의 침입을 받은 조선을 불과 20일 만인 5월 2일 수도 한양을 내주고 말았습니다. 이후 6월 평양을 내주고 임금(선조)는 의주 땅으로 피난했습니다. 조선은 전라도 지역과 평안도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을 일본군에게 내주었습니다. 이처럼 관군이 패하자 그 동안 양성해 온 3,000여 명의 의병을 모아놓고 곽재우 장군은 이렇게 말했다. “삶이 있으면 반드시 죽음이 있는 법이다. 이왕 나라를 잃고 왜놈들에 노예처럼 살바에야 목숨을 내놓고 끝까지 싸우다가 죽는다는 각오로 싸워야 할 것이다.” 이 말을 들은 의병들은 와! 하는 함성을 지르며 죽음을 각오하고 왜적과 싸울 것을 결의했습니다. 곽재우 장군은 의병을 상군(上軍)
조선왕조~삼국시대 재미있는 짧은 야화 (8) 글 : 권우상 임진왜란이 일어나 백성들은 하루 하루 불안하게 살아야만 했다. 이때 고을 사또가 기자헌(奇自獻)에 피난하여 어렵게 방 하나를 얻어 부인과 첩 등 세 사람이 함께 지내고 있었다. 사또와 절친한 오성 이항복 대감이 그 좁은 방에서 세 사람이 생활하는 것을 보고는 이 세 사람의 잠자리를 상상하여 시(詩)를 한수 지었다. “춥지도 덥지도 않은 2월 좋은 시절에 한 아내와 첩이 한방에서 초라하게 사는구나! 비취 비단 이불속엔 여섯 개의 다리가 가지런히 뻗었다. 웃으며 벌린 이 세 개의 입(口)이 하나로 겹치면 ‘品’자가 되고 옆으로 나란히 누워 잠잘 땐 그 모습이 마치 냇물 ‘川’자가 되는구나 동편으로 몸을 돌려 사랑놀이를 막 끝내고 나니 서쪽에 누운 여인 팔 뻗어 나한테도 해달고 하면서 손뼉을 치며 좋아했다.
칼럼 기회주의를 배제하는 현명한 신하 권우상 사주추명학자. 역사소설가 어느 나라에 포악한 임금이 있었는데, 신하중에는 권력에 탐욕이 가득찬 간악한 신하와 매사에 공정하고 현명한 두 신하가 있었다. 그런데, 현명한 신하를 가시처럼 미워하던 간악한 신하는 현명한 신하가 임금을 해치려 한다고 임금에게 거짓으로 일러 바쳤다. 임금은 그의 말을 듣고 무슨 방법을 강구하여 그를 처단하라고 엄명했다. “방법이야 있사옵니다. 항아리 안에 ‘생(生)’자와 ‘사(死)’자를 각각 써놓은 쪽지 두개를 넣고 내일 아침에 폐하 앞에서 제비를 뽑게 한 다음, ‘생’자를 뽑으면 살려주고 ‘사’자를 뽑으면 죽이기로 하시옵서.” 임금은 말했다. “거참 묘한 방법이군, 그런데 꼭 ‘사’자를 뽑게 해야 하지 않느냐?” 간악한 신하는 간사한 웃음을 띠고 임금을 안심시키려고 하였다. “염려마십시오 폐하!” “음, 그러면 경을 믿고 있겠노라!” 간악한 신하는 임금이 수락하자 하인을 시켜 쪽지 두 개에 모두 ‘사’자를 써서 단지 속에 넣게 했다. 간악한 신하의 흉계를 알아차린 하인은 이 일을 즉시 현명한 신하에게 알려주었다. 밤새 뜬눈으로 지새다가 묘한 방법을 생각해 낸 현명한 신하는 아침에 임금이
2024년 7월 30일 현재 권우상 작가 프로필 ( 문학작품. 칼럼 총합계 67,582여 편 발표 ) ( 발표기간 1966년〜2024년 7월 30일 현재 58년 동안 ) ■ 成海 권우상(權禹相) 作家 프로필 ■ ▪ 日本國廣島市大須賀町で生まれた。 ▪ 사주추명학자. 역사소설가. 아동문학가. 시인. 극작가. 수필가. 칼럼리스트. ▪ 현재 경남뉴스. 구미일보에 칼럼 집필중. ▪ 현재 구미일보에 시. 시조. 동시. 동화. 소설. 희곡 등 문학작품 발표중. ● 경력 양산신문 객원논설위원 (전) 국제일보 논설위원 (전) 한국소비자신문 논설주간 (전) 경북종합신문 논설주간 (전) 포항경제신문 주필 (전) ▪ 작품활동기간 54년 (1966년∼2024년 7월 30일 현재) ▪ 문학작품 – 4만3천9백95여 편 발표 ▪ 칼럼.논단 – 2만3천5백87여 편 발표. 총 67,582여 편 발표 ▪ 대표작 : 장편소설 <봉이 김선달> <박혁거세> <말띠 여자> <실락원에서 복락 원까지> <여자는 세 번 태어난다> <겨울바다. 저 건너 또 하나의 풍 경> <발가벗은 여자> <파피야스에서 니르바나까지>
소비자원, 영아돌연사중후군 수면용품 질식사 우려 우리나라는 영아돌연사증후군(SIDS)으로 5년간(2018~2022년) 영아 총 275명이 사망하는 등 연간 출생아 1,000명당 0.2명 내외로 발생하고 있다. 미국, 호주 등은 안전하지 않은 수면 환경을 영아돌연사증후군의 원인 중 하나로 보고 침대, 요람,쿠션 등 영아 수면용품에 대한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통계청 ‘사망원인통계(2023.9.)에 따르면 영아사망원인(영아돌연사증후군) ㅇ영아돌연사증후군(SID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은 1세 미만 영아의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사망을 말하며, 대부분 명확한 이유 없이 수면 중에 발생하여 ‘요람사’라고도 부른다. 최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영아 수면용으로 광고·판매하는 30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17개(56.7%) 제품은 수면용으로 사용할 경우 질식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ㅇ요람 10개, 쿠션류 10개, 베개 10개, ㅇ바닥면이 경사진 수면용품은 수면 중 질식 우려 있어 성장, 발달이 미숙한 영아는 수면 중 호흡이 불안하고 상대적으로 덜 발달한 목 근육과 좁은 기도 때문에 다른 연령층에 비해 질식사고의 우려
권우상 명작 중편소설 = 천강홍의장군 <11> 천강홍의장군 그후 2년이 지나자 곽재우 장군의 의병은 3천여 명에 달했습니다. 이렇게 짧은 기간에 많은 의병을 모을 수 있었던 것은 임금은 허약하고 조정 대신들은 붕당정치로 싸움만 하면서 나라의 정세가 어지러운 데다가 백성들의 삶이 곤궁해졌기 때문이었습니다. 1592년(선조25년) 4월 13일 오후 5시, 일본의 20만 병력은 모두 9개 부대로 나누어 조선 침략을 개시했습니다. 20만 대군의 침입을 받은 조선을 불과 20일 만인 5월 2일 수도 한양을 내주고 말았습니다. 이후 6월 평양을 내주고 임금(선조)는 의주 땅으로 피난했습니다. 조선은 전라도 지역과 평안도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을 일본군에게 내주었습니다. 이처럼 관군이 패하자 그 동안 양성해 온 3,000여 명의 의병을 모아놓고 곽재우 장군은 이렇게 말했다. “삶이 있으면 반드시 죽음이 있는 법이다. 이왕 나라를 잃고 왜놈들에 노예처럼 살바에야 목숨을 내놓고 끝까지 싸우다가 죽는다는 각오로 싸워야 할 것이다.” 이 말을 들은 의병들은 와! 하는 함성을 지르며 죽음을 각오하고 왜적과 싸울 것을 결의했습니다. 곽재우 장군은 의병을 상군(上軍)
조선왕조~삼국시대 재미있는 짧은 야화 (7) 글 : 권우상 커다란 배를 가지고 다니면서 장사를 하는 한 상인이 생강을 사서 한 배 가득 싣고 경상도 선산(善山)의 월파정(月派亭) 나루에 배를 대고는 혼자 중얼거렸다. “내 명색이 사내 대장부로서 색향으로 유명한 이곳에 와서 그냥 장사만 하고 지나칠수야 없는 일이 아는가.” 그리하여 선산 고을에서 이름난 한 기생을 사귀어 그 집에서 며칠동안 생활하면서 한 배 가득한 생강을 모두 탕진하고 맨몸으로 돌아갈 처지가 되었다. 빈털터리가 된 상인은 기생과 작별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내가 너의 집에 와서 며칠동안 생강 한 배를 모두 날렸으나 후회는 없다만 다만 한 가지 소원이 있다. 너의 옥문(玉門)이 어떻게 생겼기에 내 생강 한 배를 며칠 사이에 다 먹어치웠는지 보고 싶구나, 어두운 밤에는 볼 수 없으니 밝은 대낮에 한번 보여 줄 수 없겠느냐?” 그러자 기생은 웃으면서 생강 장수에게 이렇게 말했다. “그런 소원이라면 열 번 이라도 들어드릴 수가 있습니다.” 하고는 옷을 모두 벗고 알몸으로 반듯이 드러누워 상인이 보고 싶다는 옥문을 보여 주었다. 이 상인은 기생의 옥문을 헤치고 그 속까지 자세히 살펴 본 후 시를 한 수
칼럼 大智와 大悲는 중생을 구원하는 길 권우상 사주추명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생활의 지혜라는 말은 흔히 듣지만 종교의 지혜라는 말은 생소한 어감을 준다. 세속 생활에도 지혜스러움이 있어야 그 생활이 윤택하게 된다면 출세간적인 생활에 있어서는 더욱 더 지혜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종교생활의 예지라는 어감에 더욱 친근감이 내포되어야 함에도 소원한 느낌을 주는 것은 우리들이 종교생활은 깊이 하지만 종교의 지혜를 가까이 하지 않음에 있는 것이다. 단적으로 표현하면 신앙은 하지만 신앙에서 비춰주는 그 빛살을 잘 수용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종교란 지혜생활의 종합이다. 종교에 있어서 믿음을 연속시키게 하는 것은 지혜의 빛으로 일체를 비추고 그늘진 곳이나 어두운 곳을 찾는 손길이 있어야 한다. 종교인이 처음이나 끝이나 항상 가깝게 하고 그것에 친해져야 할 것은 계율의 생활화이다. 이것이 없다면 종교적 생명 가치나 예지가 싹틀 수 없다. 종교적 생활 즉 지엄한 계체(戒體)에 자기를 담아보지 않는 사람은 그 계책에서 품어 나오는 계향(戒香)이 있을 수 없다. 계체의 쓰임새 또는 계체의 향기가 온 몸에 배이고 그 배인 것이 주변에 훈습할 때 종교적 향기가 풍겨나
엄마와 함께 읽는 명작 동시= 바다를 보면 / 권우상 바다를 보면 바다를 보면 나는 즐거워집니다 바다를 보면 나는 호뭇해집니다 바다를 보면 나는 희망을 갖게 됩니다 바다를 보면 나는 꿈을 키우고 싶어집니다 바다를 보면 나는 행복해지고 싶습니다 바다를 보면 나는 착해지고 싶습니다 그래서 나는 언제나 바다를 보며 살아갑니다 많은 생명들을 보듬어 안고 지키고 키우는 바다 그런 바다를 보며 나는 살고 싶습니다. ㅇ 아동문학가. ㅇ 매일신문 신춘문예 동시부문 당선. ㅇ 부산mbc문예상 동시부문 당선.
권우상 명작 중편소설 = 천강홍의장군 <10> 천강홍의장군 2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 조선 임금(선조)은 일본의 정세를 염탐하기 위해 조선통신사를 일본 보냈지만 임금에게 일본의 상황을 보고하는 과정에서 서인(西人)인 정사(正使) 황윤길은 일본은 반드시 전쟁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동인(東人)은 부사(副使) 김성일은 일본은 전쟁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때 서장관 허성은 동인이었으나 서인인 황윤길과 의견을 같이 하였고, 김성일을 수행했던 황진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들의 상반된 보고를 접한 조정 대신들은 동인과 서인으로 갈라져 자기 당의 인물을 비호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요행을 바라던 조정은 반신반의 하면서도 결국은 전쟁설을 퍼뜨려 민심을 혼란스럽게 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 따라 김성일의 주장을 발아 들이기로 하였고. 임금 역시 일본이 전쟁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는 김성일의 주장을 믿고 아무런 대비책도 세우지 않았습니다. 더구나 임금은 성을 쌓는 등 전쟁에 대한 방비를 하던 것마저 각 도에 어명을 내려 중단 시켰습니다. 그러자 선위사 오억령은 ‘일본이 다음 해에 조선의 땅을 빌려 명나라를 정복하려한다’는 보고를 하자
조선왕조~삼국시대 재미있는 짧은 야화 (6) 글 : 권우상 충청도 어느 마을에 사는 선비가 아침에 안방으로 들어오자 부인이 밤새도록 정성껏 만든 버선을 내 놓았다. 버선을 보자 선비는 “부인, 고맙소, 그렇지 않아도 버선이 낡아 한 켤레 있었으면 하고 바라고 있었던 중이었는데...” 선비는 버선을 집어 들고 기뻐하면서 신었다. 그런데 버선이 발보다 작아 들어가지 않았다. 선비는 버선을 집어 던지고는 “당신은 정말 이상한데가 있구려..마땅히 작아야 할 곳에는 너무 크고 헐렁헐렁해서 재미가 없고 커야 할 버선은 이렇게 작아 발이 들어가지 않으니 당신 것은 늘 이렇게 이치에 맞지 않게 거꾸로만 거요.” 하면서 부인의 얼굴을 바라보며 싱긋 웃었다. 그러자 부인은 남편의 얼굴을 보면서 “당신 것은 다 좋은 줄 아세요? 커야만 좋은 물건을 만져서 키울려고 아무리 애를 쓰도 커지지 않고 크지 않아야 될 발은 쓸데없이 커져서 같은 치수로 만든 버선도 들어가지 않으니 참으로 이상한 일이 아닙니까?” 두 사람은 서로 웃으며 약속이나 한 듯이 서로 부둥껴 안았다.
칼럼 수학은 미워하지 말고 교사를 미워하라 권우상 사주추명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천재(天才 : Genius)는 재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천재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 높은 IQ를 생각하고 있지만 단순히 고(高)지능자라고 해서 천재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 세계적인 천재 전기작가 월터 아이작슨(Walter Isaacson)은 천재가 되기 위해선 높은 지능 지수가 어느 정도 필요하긴 하겠지만 충분하지 않으며, 천재들이 가지고 있던 보편적인 특성으로 거의 모든 상황에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비범함을 꼽고 있다. 천재들은 위대한 업적을 ‘집중’함으로써 탄생시켰다. 뉴턴은 페스트 균(菌)으로부터 도망하기 위해 고향 시골집에 있었던 18개월 동안 3대 발견 즉 만유인력, 미분, 적분법, 태양광선의 분해를 이룩해 냈다. 그의 나이는 23세 때였다. 두 번째 집중기는 40대로 역시 18개월 동안 저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통칭 ‘프린키피아’를 완성했다. 이 기간에는 식사도 잊을 정도로 집중했다고 한다. 수학자 가우스의 집중력도 유명하다. 그가 어떤 문제에 집중하고 있을 때 의사가 와서 부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