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럴 때일수록 건강을 해치지 않는 음주에 대해 실천이 필요하다. ▶ ‘부어라! 마셔라’ 반복되면 건강에 치명적 적절한 음주량은 65세 미만 성인 남성의 경우 일주일에 평균 14잔 이하, 1회 최대 음주량 4잔 이하이며 여성이나 65세 이상은 그 절반 정도이다. 그 이상을 마시면 과음, 또는 폭음이 되는데 이를 고려하면 우리나라 음주의 무절제함을 알 수 있다. 폭음은 급성 알코올 독성으로 인한 증상, 사고로 인한 사망률을 높이고, 폭음이 반복되면 알코올 남용이나 알코올 의존과 같은 정신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 물 많이 마시고 폭탄주 피하고 일정량의 술을 섭취한 이후엔 충분한 시간이 지나기 이전까지 숙취를 완전히 없애는 방법은 없다. 그렇다면 연말 송년회에 시달린 후 빨리 술에서 깨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알코올은 그 자체로 이뇨작용을 일으키고, 알코올을 분해하는 데는 수분이 필요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또한, 일단 혈액으로 흡수된 알코올을 분해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술을 마실 때 알코올이 덜 흡수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섭취한 알코올의 20%는 위 점막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천천히 마셔서 위 배출 시간을 늦추거나 음식을 함께 먹어서 위의 알코올 농도를 희석시키는 것이 좋다. 도수가 높은 술일수록 흡수가 잘 되기 때문에 폭탄주는 삼가는 것이 좋다. ▶ 술 깨러 사우나 간다? NO! 사우나가 더 위험! 반면 주독을 푸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의학적 증거가 충분한 음식은 없다. 물을 많이 마시고 충분히 수면을 취하고 휴식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음주 후 사우나는 기분은 개운하게 할 수 있겠지만, 술을 깨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경북지부 한용태 원장은 “알코올을 분해하는데 충분한 수분이 필요한데 사우나 과정에서 땀을 많이 흘리면 탈수가 매우 심해질 수 있으며 때로는 실신을 하는 경우도 있어 음주 후 사우나는 오히려 위험하다”고 충고했다. ▶ 건강한 음주규칙 ① 폭탄주는 피한다. ② 술과 담배는 함께하지 않는다. ③ 비타민 C를 복용한다. ④ 해장술은 절대 금한다. ⑤ 하루에 마시는 양이 소주 4잔, 일주일에 마시는 총량이 소주 2병을 넘지 않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