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교통위원회 국정감사] 수공 광역상수도 가동률 미흡, 최근 5년간 3천억원 손실

이완영 국회의원, 수공 광역상수도 20년 이상 노후관 총 1,365km, 조속히 교체돼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완영 의원(새누리당, 경북 칠곡·성주·고령)은 9월 21일(월) 한국수자원공사에 광역상수도의 관로사고를 막기 위해 노후관을 교체하고, 가동률을 적정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대책을 마련해주길 촉구했다.

국가 물공급 체계에서 광역상수도는 인체의 대동맥과 같은 역할을 하기에 사고발생시 그 피해는 사회·경제적으로 막대하다. 하지만 최근 3년간 광역 및 공업용수도 관로사고가 총 152건이나 발생하였고 주된 원인은 시설노후였다.

[■참고자료. 광역 및 공업용수도 관로사고 현황]

최근 3년간 발생한 광역 및 공업용수도 관로사고는 총 152건

구 분

‘12년

‘13년

‘14년

관로사고(건)

152

56

51

45

< 원인별 관로사고 현황 >

)

구 분(건)

'12년

'13년

'14년

152

56

51

45

시설노후

62

18

27

17

운영관리요인

11

6

-

5

외적요인

4

1

1

2

매설환경

16

10

5

1

타공사

13

4

3

6

품질불량

46

17

15

14

※ 품질불량 : 관로 매관 시 코딩손상, 용접불량, 볼트조임 불량, 자재자체 결함 등

광역상수도 노후도를 살펴보면, ‵15년 현재 전체 관로 5,191km 중 26%인 1,365km가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관로이며 30년 이상 된 관로도 433km나 남아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참고자료. 광역상수도 현황, 20년 이상 관로 현황

구 분

10년 미만

10~19년

20~29년

30년이상

관로연장(km)

5,191

1,155

2,671

932

433

비 율

100.0%

22.3%

51.5%

18.0%

8.3%

또한 「상수도 시설기준(환경부)」에서는 수질오염, 관로파손 등으로 인한 수돗물 공급중단을 방지하고자 광역상수도의 적정가동률을 75%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14년 기준 광역상수도의 가동률은 72%에 그쳐, 적정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이로 인해 ‵13년 400억, ‵14년 300억 등 최근 5년간 약 3,000억원이라는 막대한 손해가 발생하고 있다.

[■참고자료. 광역상수도의 적정가동률 격차로 인한 물량 및 금액

(단위 : 천㎥/일)

연도

시설용량

적정가동량

(A)

공급물량

(B)

차이

(A-B)

금액

(백만원/일)

금액

(억원/연)

2010

17,682.4

13,261.8

11,979.8

1,282.0

285.9

1,043.5

2011

17,462.4

13,096.8

12,222.4

874.4

195.0

711.7

2012

17,462.4

13,096.8

12,436.0

660.8

147.4

537.9

2013

17,462.4

13,096.8

12,600.7

496.1

110.6

403.8

2014

17,553.4

13,165.1

12,798.8

366.3

81.7

298.1

2,995

* 원수요금 223원/㎥ 적용

이완영 의원은 “광역상수도의 노후관 증가, 단선관로 문제는 단수사고로 이어져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수공은 속히 해소대책을 마련해 시의적절한 관로교체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미흡한 상수도 가동률로 막대한 손해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가동률을 적정수준까지 높여 상수도 운영의 효율성과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