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동보건지소 2층에 위치한 열린 건강교실은 12종의 체력측정 장비를 설치하고, 2006년 하반기에 문을 열어 지금까지 2,000여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체력진단을 통한 건강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첨단장비 체력진단시스템의 운영체계를 살펴보면 먼저 운동과 식생활습관, 병력, 가족병력 등 의학적 예비사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정확한 처방자료를 수집하고, 의학적 검사로 신장, 체중, 체지방의 형태측정으로 비만을 판정하며, 순환기계통 혈압과 안정 시 심박수의 측정으로 고혈압과 폐 기능 등 순환기 장애를 조기 발견하며, 폐 기능 검사로 최대 폐활량을 측정해 운동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근력과 유연성, 순발력, 평형성, 민첩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에 대한 개개인의 체력수준에 맞는 운동프로그램 제시를 위한, 체력구성 요인별로 과학적인 체력측정을 실시해 종합 체력을 평가하고 체력나이도 산출하여 컴퓨터 S/W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체력진단 및 운동처방 표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개인별 체력진단에 따른 운동처방 및 보건지도, 심리상담, 영양지도를 병행함으로써 3개월, 6개월간의 정기적 체력진단을 통한 주민의 건강생활 실천을 유도하고 있다. 또, 인동보건지소에서 운영중인 어르신 운동교실 회원과 사업장 건강행태개선사업 참여사업장 근로자에 대한 건강관리도 본 체력진단시스템을 활용한다. 운동 실시 전과 운동 실시 후 2차례에 걸쳐 체력진단을 실시하여 운동실천 효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등 생활습관에서 초래되는 만성질환의 예방관리에 필요한 운동과 식이처방으로 참여자들의 건강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으며, 개인별로 분석된 체력진단결과는 개인과 사업장에 환류함으로써 가정과 사업장내 건강관리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평상시 운동을 즐기고 생활화 하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자신의 체력진단 점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지만, 실제로 체력진단 결과를 평가해 보면 지구력과 유연성, 민첩성, 심·폐지구력 등에서 낮은 점수를 받게 되는 사례가 종종 있다. 각종 운동들로 단련된 몸이라 전반적으로 체력이 좋을 것이고 체력나이도 실제 보다 훨씬 젊게 나올 것으로 예상하지만 과학적 시스템으로 정밀 분석하면 실제 보다 4~5세 정도 많은 체력 나이와 부족 된 체력요인별 항목도 쉽게 발견된다. 하지만 또 이를 교정할 수 있는 기회의 시간이 되기도 한다. 자! 이제 한 번쯤 자신의 체력 나이를 확인하기 위해 인동보건지소의 체력진단시스템을 활용해 보자. 이 또한 새로운 건강관리의 지름길이 될 수 있으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