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는 교육, 문화, 산업 활동이 왕성한 젊은 도시로서 고려시대에는 야은 길재 선생의 교육 평등사상에서 출발하여 조선시대에는 선비의 고장으로 부상하였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의하면, “조선 인재의 절반은 영남에서 나왔고, 영남인재의 절반은 선산에서 나왔다.”고 할 만큼 구미는 역사적으로 교육도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60, 70년대에는 새마을교육, 자연보호운동이 중추적 역할을 해 왔으며, 2007년 평생학습도시, 2008년 교육특구 지정, 2009년 IAEC(국제교육도시연합) 가입 등으로 종전 산업도시에서 교육과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 이미지로 탈바꿈하고 있다. 구미시 평생교육원에서는 2009년 한해 내륙최대 산업도시의 활발한 산업활동 기반구축을 위해 전국 최고의 평생교육 시설을 갖추고 전 시민에게 평생학습기회를 제공, 시민의식 함양은 물론 명품교육도시로서의 위상을 제고하고, 또한 전국 최고의 명품도시로서 거듭나고자 시의 다양한 산업과 교육에 관한 기반을 중심으로 평생교육원 운영목적을 “배움으로 하나 되는 명품 교육도시 구미” 건설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평생교육을 운영하여 왔다. |
국제기업도시의 명성에 걸 맞는 기업체 임·직원들의 외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새벽과 야간교육 반을 편성 기업체 교육 활성화에 노력하였고, 농촌지역 주민들의 학습기회 확대를 위하여 농촌마을 평생학습 리더 육성을 위해 읍·면지역 리장, 새마을 남·여지도자 등 24명을 모집 년2회에 걸처 교육을 실시하였고, 선산지역 어르신들을 위한 실버아카데미 운영, 농촌주민들의 건강 및 취미활동을 위한 찾아가는 이동교육, 읍·면지역 초등학생들을 위한 방과후 교육 등을 실시하여 취약한 농촌지역 주민들의 평생교육 운영에 많은 관심을 갖고 심혈을 기울려 왔다. 생애 단계별 맞춤형 교육을 위해 지역주민들의 요구에 맞는 장수대학, 여성대학, 여성대학원, 시민대학원 등을 개발·운영 1,210명의 어르신들이 활기찬 교육에 임하여 왔고, 어린 꿈나무 들을 위한 방학기간 중 꿈나무교실 운영과 방과후 교육을 운영 906명의 어린새싹들이 평생교육의 꿈을 키워왔다. 이밖에 읍면동 주민들의 건강과 취미생활을 위해 찾아가는 이동교육을 운영하였고, 또한 소외계층 주민들의 학습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자격증 취득과정, 고등교육과정 등을 개발·운영하여 구미시 모든 연령층의 학습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다양한 노력들을 해오고 있다. 특히 2009년 한해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여건이 어려워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시민들에게 대학졸업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사회대학(학점은행제 예비과정)을 운영하고 6월에 교육과학기술부에 공모 신청하여 11월에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10개 과목을 인정받아 학점은행제 인증기관으로 지정받았다. 지식정보화사회 주민의식 함양을 위해 "Yes 명품 야은아카데미"를 개설하여 제1회 서상록 강사의 “생각을 바꾸면 새 세상이 보인다”를 시작으로 15회에 걸쳐 전국최고의 명사를 초청 8,900 여명의 시민들에게 경제·사회·교육·문화에 대한 특강을 함으로써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하였다. |
평생교육과정 2009년도 교육운영결과를 평가 분석하여 많은 시민들이 원하는 유익한 과정 등을 개발운영하고 실적이 저조한 과목 등은 폐강하여 시민위주의 교육 운영 생애 단계별 교육위주의 평생교육을 실시하여 연령대 단계별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질적이고 유용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기업체근로자, 다문화가정, 농촌지역주민, 결손가정자녀 등 평생교육 여건이 취약한 계층에 대한 지원프로그램 개발·운영 등 사회 전반에 대한 평생학습의 균등한 기회 제공 평생학습 저변확대 및 교육도시 시민으로서의 자긍심 고취를 위한 제3회 지역평생학습축제 개최 및 2011년 제10회 전국평생학습축제 유치활동 전개 그간 경제적 사회적 여건이 어려워 대학진학을 못한 시민들에게 학위취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10년 학점은행제를 운영하여 5개 과목을 상·하반기에 걸쳐 시행할 계획이다. 학점 은행제 평가 인정 ○과 목(10과목) : 가족상담 및 치료, 대인관계의 심리학, 미술치료, 상담심리학, 상담이론과 실제, 성격심리학, 심리학 개론, 집단상담이론과 실제, 학습심리학, 한식조리실습1 ○학 점 : 과목당 3점(1학기, 15주, 주당 3시간) ○평가인정 유효기간 : 2010년 3월 ~ 2014년 2월(4년간) ○2010년 학점은행제 운영 : 2월경 모집 예정 ■평생학습도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명사초청 특강 “2010 야은 아카데미” 운영 - 운영기간 : 2010. 2월 ~ 12월(매월 넷째수요일 14:00~16:00) - 운영장소 : 평생교육원 등 3개소 - 운영회수 : 10회 - 교육내용 :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등 각 분야 명사초청 특강 |
■평생교육과정은 구미시민을 대상으로 1기는 2. 17일부터 5. 14일까지 2기는 5. 25일부터 8. 31일까지 3기는 9. 14일부터 12. 14일까지 운영하고 제1기 교육생은 1월 18일에 선착순으로 모집할 계획이다. 교육과목은 45개 과목에 57개 반으로 - 기술·전문 과정 : 6개 과목 8개반 - 취미외국어 과정 : 24개 과목 31개반 - 건강강좌 과정 : 5개 과목 7개반 - 새벽외국어과정 : 3개 과목 3개반 - 악기과정 : 7개 과목 8개반이다. ○ 시민문화강좌 과정 영어동화 등 10과목을 연2회에 걸쳐 4개월 과정으로 운영 ○ 맞춤형 교육과정 학습기회가 적은 읍·면 지역 현장에 맞는 건강강좌 및 노래교실, 취미교실 등을 3~10개월 과정으로 운영 ○ 어린이 교육과정으로 농촌지역 학교를 대상으로 방과후 교실운영과 저소득층 자녀를 대상으로 방학기간중 꿈나무 교실을 운영 ○ 대학 교육과정 장수대학, 여성대학, Silver Academy 과정을 연간 운영 ○ 대학원 교육과정 장수대학 여성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시민대학원과 여성대학원을 년1회 운영 ○ 위탁교육은 금오공대에 사회교육과정, 경운대에 구미시민교양강좌, 구미1대학에 문예창작과정과 평생학습리더과정 등 전문분야를 시민교양강좌인 야은 아카데미를 전문업체에 위탁운영 하고 관내 평생학습기관·단체 등에도 특성에 맞는 교육을 위탁하여 많은 시민이 평생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테마특강, 주말체험교실 등을 수시로 수강생을 모집하여 가족간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체험교실을 운영할 계획이다. ○ 평생학습자의 사후관리로는 평생학습동아리에 대해 지원함으로써 평생학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평생학습을 통한 사회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 할 계획이다. 구미시 평생교육원에서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체계적인 강사 DB구축 관리와 함께 강사료를 현실화하여 우수강사 확보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뱍년대계를 꿈꾸는 젊은 도시, 디지털 도시 구미가 전국에서 가장 모범적인 교육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전국평생학습 축제 유치와 IAEC(국제교육도시 연합)가입 이후 국제교육을 선도 할 수 있도록 각종 국제교육행사 유치 등 국제교육 도시로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구미시 평생교육원은 ○ 2007년도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되어 구미시민복지회관의 기능을 전환하여 평생교육원으로 개칭 ○ 기구는 원장과 교육시설을 관리 지원하는 2담당으로 구성된 지원관리과와 교육 프로그램기획, 운영, 평가하는 3담당으로 구성된 평생교육과로 구성되어 25명의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 주요시설로는 부지가 8,102㎡, 연건평 5,461㎡(지하 1층, 지상3층)으로 642명을 수용하는 대강당과 강의실 19개소, 다목적회의실 1개소, 동아리회의실 1개소, 후생복지시설 3개소, 사무실과 홍보전시실로 설치되어 있으며 ○ 야외에는 파고라와 분수대 등 휴식공간이 조성되어 있고 또한 165대의 주차공간을 확보하여 차량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 이밖에 교육원 주변에는 공단운동장과 근로자복지회관이 있어, 시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수영, 헬스, 탁구 등 체력단련활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