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우상(權禹相) 연작 소설 - 천.지.인.명(天.地.人.命) - 제1부 여섯 번째회 (6)

  • 등록 2017.03.01 14:29:55
크게보기

 

 

 

권우상(權禹相) 연작소설 제1부 여섯 번째회 (6)

 

. . .

 

 

사방을 두리번거리면서 행인 중에 선비나 글줄이나 읽을 만한 사람을 찾던 강만수(姜萬洙)는 저녁 무렵이 되어서야 자기 쪽으로 향해 오는 스님 한 분을 만나게 되었다.

스님은 글을 알겠지 생각하고는 다짜고짜로 스님 앞으로 다가가서 두 손을 모아 합장하며 말했다.스님, 청이 하나 있습니다

무슨 청인지 말해보시오

스님은 공손히 대답했다.

 

 

이것 좀 봐 주십시오

강만수는 윗저고리를 벗고 등을 보였다.

등을 본 스님은

댁을 죽여 없애라는 글이외다

그러면 돈 닷 냥을 부처님께 공양할 것이니 이 글을 지우시고 대신 소인이 불러드리는 대로 고쳐 써 주십시오 스님

그리 하옵지요

스님이 먹과 붓을 준비하자 강만수는 입을 열었다.

전략, 강만수로 인해서 잃을 책과 돈을 얻었으며, 자칫 잃을 뻔한 당나귀를 얻었으니 집에 돌아가는 즉시 기와집 한 채와 논밭을 주어 잘 살게 하여 주옵소서. 소자 상진 상서 이렇게 써 주십시오

그렇게 쓰겠습니다

잠시동안 빙글 웃으면서 등을 돌려댔던 강만수는 스님이 글씨 쓰기를 마치자 몇 번이고 고맙다는 인사를 했다.

스님과 헤어진 후부터 강만수는 기분이 좋아 뛰다시피 하여 발걸음을 재촉했다.

 

십여 일 후 집으로 돌아온 강만수는 곧장 안으로 들어가서 정대감을 찾아 뵈였다.

대감마님! 지금 돌아왔사옵니다

네가 먼저 웬 일이냐?”

이걸 보시면 아실 일이옵니다

다짜고짜로 저고리를 벗고 등을 정대감 앞에 불쑥 내밀었다.

뭣이? 책과 돈을 얻고 당나귀를 얻었으니 집과 논밭을 주라고.....”

청천벽력 같은 말이었다. 마땅히 죽었으리라 믿고 일간 강만수의 마누라 옥매를 소실로 맞아들이려던 참이었다. 그런데 집과 논밭을 주라니, 정대감은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인지 알 수가 없었다.

 

 

 

어찌된 일이냐고 묻고 싶었으나 꾹 참았다. 물어 본들 거짓으로 보태면 보태었지 사실 여부를 알기 어렵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들의 말대로 큰 공을 세웠다는 데야 별 수 없었다.

이날로 정대감은 강만수에게 큰 기와집 한 채와 먹고 남을 만한 논밭을 주었다.

그해 여름이었다. 한양(漢陽)에 갔던 상진(相眞)이 과거(科擧)에 낙방하고 돌아와보니 집 옆의 큰 기와집에 하인 강만수가 살고 있는데 사연을 알아 보았더니 뜻밖에도 기가 막혔다.

곧 부친께 말씀드리고 힘깨나 쓰는 하인들을 시켜 강만수를 잡아다가 오랏줄로 꽁꽁 묶은 뒤에 두겹으로 된 무명자루에다 집어 넣고 주둥이를 꽉 막아 안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했다.

어서 이것을 앞산 밑에 있는 큰 연못에 집어 넣어라

정대감의 아들 상진(相眞)의 분노는 상투끝까지 차 올랐다.

 

 

하인들은 강만수를 넣은 자루를 메고 앞산 밑 연못가로 갔다. 강만수는 이제야 별도리 없이 죽었다고 생각했다. 마누라 옥매의 얼굴을 한번 더 보고 싶었으나 어림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큰 연못가에 당도한 하인들은 자루를 내려놓고 난처한 얼굴로 서로 말을 주고 받았다.

여보게, 사실 말이지 강만수야 우리와 같은 종놈인데 무슨 죄가 있나. 이것은 다 정대감의 부질없는 생각에서 생사람을 죽이자는 거지 뭔가? 정대감댁 도련님이 시키는 일이니 거역할 수가 없어 여기까지 메고는 왔네만 차마 물 속에 던질 수야 없는 것 아니겠나? 그러니 우리 저 버드나무 가지에 이 자루를 매달아 놓고 돌아가세

그것이 좋겠구만. 그리하세

천만다행한 일이었다.

 

 

하인들은 연못가 버드나무 가지에 자루를 매달아 놓고는 그대로 돌아가 버렸다.

그렇지만 강만수가 살아나갈 길은 아직 막연했다. 자꾸만 마누라가 보고 싶었다. 감은 눈에서는 뜨거운 눈물이 양볼을 적시면서 계속 흘러내렸다.

그러나 어떻게 해서든지 살아나야만 했다. 이리저리 골몰히 생각하고 있을 때, 마침 사람 하나가 버드나무 밑으로 지나가는데, 지팡이 소리가 나고 발자국 소리가 고르지 못한 것이 필시 장님이 틀림 없는 것 같았다.

바로 이때 강만수(姜萬洙)의 머리에 묘안이 떠올랐다.

네 눈 깜깜.. 내 눈 번뜩.. 네 눈 깜깜.. 내 눈 번뜩...”

네 눈 깜깜.. 내 눈 번뜩.. 네 눈 깜깜 내 눈 번뜩... ”

마치 염불 외듯 크게 외우기 시작했다.

지나가던 장님이 발걸음을 멈추고 가만히 생각하지 정말 이상한 일이었다.

네 눈 깜깜이고 내 눈 번뜩이라.. 이게 무슨 소린지 궁금하니 한 번 물어보자

 

장님은 이렇게 중얼거리며 크게 소리쳤다.

여보시오

왜 그러시오

강만수(姜萬洙)는 귀찮다는 듯이 대답했다.

 

<계속>

 

 

 

권우상 기자 lsh8589@hanmail.net
< 저작권자 © 구미일보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구미일보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PC버전으로 보기

사업장주소 : 경북 구미시 상사동로 167-1, 107호(사곡동) Fax. (054)975-8523 | H.P 010-3431-7713 | E-mail : kgnews@hanmail.net 발행인 : 이안성 | 편집인 : 이안성 | 청소년 보호책임자 :김창섭 | 등록번호 : 경북 아 00052 | 신문등록일 : 2007년 8월 7일 Copyright ⓒ 2009 구미일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