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우상 칼럼 = 大智와 大悲는 중생을 구원하는 길

  • 등록 2024.08.28 12:38:54
크게보기

 

 

 

 

칼럼

 

 

                       大智와 大悲는 중생을 구원하는 길

 

 

                                                                권우상

                                                사주추명학자. 역사소설가. 극작가

 

 

생활의 지혜라는 말은 흔히 듣지만 종교의 지혜라는 말은 생소한 어감을 준다. 세속 생활에도 지혜스러움이 있어야 그 생활이 윤택하게 된다면 출세간적인 생활에 있어서는 더욱 더 지혜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종교생활의 예지라는 어감에 더욱 친근감이 내포되어야 함에도 소원한 느낌을 주는 것은 우리들이 종교생활은 깊이 하지만 종교의 지혜를 가까이 하지 않음에 있는 것이다. 단적으로 표현하면 신앙은 하지만 신앙에서 비춰주는 그 빛살을 잘 수용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종교란 지혜생활의 종합이다. 종교에 있어서 믿음을 연속시키게 하는 것은 지혜의 빛으로 일체를 비추고 그늘진 곳이나 어두운 곳을 찾는 손길이 있어야 한다. 종교인이 처음이나 끝이나 항상 가깝게 하고 그것에 친해져야 할 것은 계율의 생활화이다. 이것이 없다면 종교적 생명 가치나 예지가 싹틀 수 없다. 종교적 생활 즉 지엄한 계체(戒體)에 자기를 담아보지 않는 사람은 그 계책에서 품어 나오는 계향(戒香)이 있을 수 없다. 계체의 쓰임새 또는 계체의 향기가 온 몸에 배이고 그 배인 것이 주변에 훈습할 때 종교적 향기가 풍겨나게 되는 것이다. 원효 스님도 계율의 존엄성을 지극히 강조하면서 계(戒)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렸다. 계(戒)란 해와 달과 같다. 첫째, 해와 달은 그 스스로 참되게 물들지 아니하고 그 스스로 밝고 깨끗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바깥 세계의 어두움을 파헤치고 어둠속에 가려 있던 일체의 존재를 잘 드러내 보인다. 계(戒)란 것도 이와 같이 해와 달과 같은 것이다. 그 자체는 잡되게 물들지 아니하고 그 스스로 밝고 깨끗하여 많은 번뇌와 죄업 등이 어두운 장애물을 파헤치고 불성(佛性)이나 여래장(如來藏)을 잘 드러내는 것이다. 둘째 , 해는 엄청난 힘이 있는 것이 특성이요, 달은 서늘하고 시원하게 한다는 것이 그 성품이다. 만약 달만 있고 해가 없으면 모든 식물은 썩어 싹이 날 수 없을 것이다. 계(戒)도 역시 그와 같은 것이어서 만약 섭률의계와 섭선법계만 있고 섭중생계가 없다고 한다면 이것은 마치 자리행만 있고 이타행은 없는 것이 되는 까닭에 성문연각의 이승과 한 무리가 되어 무상보리의 중요한 열매를 맺지 못할 것이다. 또 만약에 섭중생계가 있을지라도 섭률의계와 섭선법계가 없으면 오직 이타행만 있고 자리행이 없게 되는 까닭에 범부나 다름이 없게 되어 보시(布施)의 싹을 돋아나게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지금 해와 달이 다 갖추어져 있어 능히 썩지 않고 싹이 나게 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계(戒)도 역시 위의 세 가지 계(戒)를 갖추고 있으므로 능히 범부나 이승과 같을 수 없어 더 위 없는 보리(菩提)의 세가지 열매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셋째, 해와 달은 땅을 떠나 공중에 떠다니는 듯하나 허공에 얽매이는 것이 아님과 같이 보살은 삼취정계를 지키되 어느 한 나라에만 치우침이 없고 어디에 집착함이 없으므로 법성의 허공에 나르지만 공견에 집착함이 없는 것이다. 종교생활에 있어 계체(戒體)의 존엄성을 이해하고 이것을 신앙하지 않는 소님은 양심의 명제를 망각하고 무차치나 유차의 경우에 빠지고 만다. 진실이란 참으로 드러내기 힘든 행업인 것이다. 그러므로 율의를 획섭하고 선법을 섭리하지 않으면 중생을 도섭할 수 없다. 오늘날 양식이나 믿음이 물량위주의 색계(色界), 욕계(欲界)에 휘말리기 쉬우나 삼취계의 덕목을 가슴 깊이 심고 이것이 생활의 향기로 풍겨 나오게 해야 한다. 이러한 것이 몸과 마음에 배이고 슬기와 손길이 무애하고 자재롭게 활용될 때 대지(大智)와 대비(大悲)는 중생을 구원하는 길이 되는 것이다. 오늘날 종교는 지나치게 세속화 되어 있다. 말하자면 기복(祈福) 신앙에 젖어 있는 것이다. 이런 기복 신앙의 물결을 타고 종교를 돈벌이의 수단으로 삼는 경우도 없지 않다. 지금 우리의 불교가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의 불교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정치와 종교가 분리된 시대에 있는 지금 어느 종교가 국리민복(國利民福)을 위하여 기여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절감하여야 한다. 한국 불교가 우리를 지지하고 합장하는 믿음의 마음에 희망을 주어야 하고, 고통스러운 육신에 환희를 안겨주는 보살의 불교로 발전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모든 불자들은 저항의식이 무화되어 미물 곤충도 우리들의 자비심으로 모여들게 해야 할 것이다.

권우상 기자 lsh8589@hanmail.net
< 저작권자 © 구미일보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구미일보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PC버전으로 보기

사업장주소 : 경북 구미시 상사동로 167-1, 107호(사곡동) T (054)975-8523 | H.P 010-3431-7713 | E-mail : kgnews@hanmail.net 발행인 : 이송희(안성)|편집인 : 이서온| 청소년 보호책임자:김창섭| 등록번호 : 경북 아 00052 | 신문등록일 : 2007년 8월 7일 Copyright ⓒ 2009 구미일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