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성리학역사관, “구미 역사인물저작 국역사업” 시행

  • 등록 2023.02.28 21:18:47
크게보기

구미 출신 및 구미와 관련된 선현의 문집 총 6종 선정
지역 선현의 기록문화유산 발굴하여 번역

 

구미시(시장 김장호) 최초의 제1종 공립박물관인 구미성리학역사관(이하 역사관)은 3월부터 지역 선현의 기록문화유산을 발굴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번역하는 “구미 역사인물저작 국역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경상북도에서 지원하는 이번 사업에서 고전자료의 전문적·효율적인 번역을 위하여, 역사관은 지난 2월 23일(목) 국학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국학진흥원과 업무대행 협약을 체결하여 본격적인 번역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올해 국역 대상 자료는 역사관 내부 전문가와 고전국역위원회를 통해 역사관에 보관 중인 자료 중에서 구미 출신이거나 구미와 관련 있는 인물의 문집 총 6종을 선정했다.

 구미 출신 인물의 문집은 조선 전기 학자 김취성(金就成:1492~1550)의 『진락당집(眞樂堂集)』, 조선 전기 학자이자 초성(草聖) 고산 황기로의 조부인 황필(黃㻶:1464~1526)의 『상정일고(橡亭逸稿)』, 조선 전기 문신이자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싸운 노경필(盧景佖:1554~1595)의 『늑정선생일고(櫟亭先生逸稿)』, 조선 전기 문신인 김뉴(金紐:1527~1580)의 『박재집(璞齋集)』, 여헌 장현광의 후손이자 조선 말기 문신인 장석룡(張錫龍:1823~1908)의 『유헌집(遊軒集)』 이다. 여기에 지난해 역사관에서 수집한 조선의 개국공신이자 야은 길재를 위해 밤실마을에 가묘를 지어 주었던 남재(南在:1351~1419)의 『구정선생유고(龜亭先生遺藁)』를 추가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구미 역사인물의 문집 44종 중에서 번역된 것은 12종 뿐이며, 이마저도 문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지속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번 사업을 통해 구미의 기록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연차별 번역사업을 추진하여 우리 지역 선현들의 삶과 정신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문  의 : 구미성리학역사관(☎054-480-2683)

* 누리집 : www.gumi.go.kr/museum

이지혜 기자 kgnews@hanmail.net
< 저작권자 © 구미일보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구미일보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PC버전으로 보기

사업장주소 : 경북 구미시 상사동로 167-1, 107호(사곡동) Fax. (054)975-8523 | H.P 010-3431-7713 | E-mail : kgnews@hanmail.net 발행인 : 이안성 | 편집인 : 이안성 | 청소년 보호책임자 :김창섭 | 등록번호 : 경북 아 00052 | 신문등록일 : 2007년 8월 7일 Copyright ⓒ 2009 구미일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