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중국의 버르장머리 고쳐놔야

  • 등록 2011.12.21 06:45:55
크게보기

권우상(명리학자. 사회평론가)

 
지난 12일 오전 소청도 남서쪽 우리의 영해에서 불법 조업을 하던 중국어선이 우리 해양경찰의 단속에 걸리자 흉기를 들고 강하게 저항하면서 해경 특공대원이 살해되자 국민들의 반중 감정이 악화됐다. 중국어선의 흉기 난동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해경은 지난 13일 범인이 숨겨 놓은 칼로 찔렀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유감표시나 사과 한마디 없이 낯짝 두꺼운 뻔뻔스런 자세로 일관하여 우리 국민들의 분노에 불을 지폈다. 이런 무개념 중국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중국은 1999년 미국의 협조로 WTO체제에 가입한 뒤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루면 오만 방자하기 짝이 없는 행동을 보이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중국인이라면 고개를 젓는다. 2005년 이후 중국은 자원개발을 이유로 진출한 아프리카에 500억 달러를 원조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아프리카 사람이 받은 건 그들에게 필요한 식량이나 돈이 아니라 실생활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중국제 제품 등을 ‘정가대로 공급한 것이 전부였다고 한다. 중국 공기업은 자원개발을 한다면서 인민해방군까지 동원하여 해당지역을 점령했고 현지에서 고용한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급여도 지급하지 않고 노예처럼 부렸다는 보도도 있다.

여기에 한 술 더 떠 중국 정부는 다르푸르에서 인종청소를 저지른 수단 정부에 무기와 탄약을 팔았다. 일본에서도 중국인들은 사람 취급을 받지 못한다. 유학생 신분으로 와서는 불법 취업을 하고 온갖 범죄를 저지르며 현지 주민들을 괴롭히기 때문이다.

중남미에서도 중국제 ‘짝통 약’과 ‘짝통 치약’을 쓰다 수십명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자 중국이란 말만 들어도 얼굴을 돌린다. 사정이 이런데도 중국 정부는 대수롭지 않다는 태도다. 중국인들이 세계적으로 비난을 받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은 2008년 4월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 행사다.

당시 전 세계에 퍼져있는 중국인들은 중국 공산당의 지시에 따라 본국에서 공수한 오성홍기를 들고 채류 중인 국가에서 폭동과 같은 수준의 집회를 열려고 했다. 그러자 유럽과 오스트렐리아 일본 등은 경찰특공대까지 동원하여 집회를 원천 봉쇄해 불상사를 막았다. 이웃 국가인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도 중국과 사이가 나쁘다.

중국과의 영해 분쟁에 해양경찰이 아닌 해군을 동원하여 중국의 횡포에 대응하고 있다. 중국을 좋아하는 나라는 이슬람 근본주의 정권에 있는 국가외에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 이런 상황에 한국 대기업과 정부가 중국인 관광객에 열을 올리는 모습에 세계 각국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태도다.

2008년 4월 27일 서울 도심에서 4만여 명의 자칭 중국인 유학생이 폭동을 일으켰지만 누구도 처벌을 받지 않았다는 것이다. 마치 한국이 중국의 속국을 연상케 하는 대목이다.

10만여 명에 이른다는 중국인 불법 체류자와 유학생이라고 들어와서는 불법 취업을 한 사람들을 그대로 놔두는 한국 정부를 세계 각국은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모습이다. 오만 방자한 중국의 버르장머리 없는 행동은 더욱 사다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의 이런 태도를 겪어 놓기 위해서는 이탈리아처럼 중국인 불법 체류자를 모두 추방해야 한다. 이탈리아 정부는 국가헌병대를 동원하여 중국인들의 행패를 진압하고 이 과정에서 2,000여 명의 중국인이 체포됐다. 이후 이탈리아 정부는 중국인 불법 체류자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자 중국인들은 갑자기 조용해졌다.

우리나라도 이제 중국인 불법 체류자를 색출하여 체포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만 오만 방자하기 짝이 없는 중국의 콧대를 꺾을 수 있다. 지금도 정치인과 대기업 언론은 경제 보복을 두려워하여 과감한 대중정책을 기피하고 있다. 더구나 특파원을 추방한다는 중국 정부의 협박에 굴복해 중국의 행패에 대응하면 안된다는 논리를 내세우며 비굴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런 나라가 진실로 자주 국가라고 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북한의 핵실험,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등 북한의 도발에도 북한을 포옹하는 중국은 우리가 경계해야 할 국가다. 중국의 버르장머리를 고쳐 놓을 수 있는 정부의 대책이 있어야 하겠다.
권우상 기자 kgnews@hanmail.net
< 저작권자 © 구미일보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구미일보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PC버전으로 보기

사업장주소 : 경북 구미시 상사동로 167-1, 107호(사곡동) Fax. (054)975-8523 | H.P 010-3431-7713 | E-mail : kgnews@hanmail.net 발행인 : 이안성 | 편집인 : 이안성 | 청소년 보호책임자 :김창섭 | 등록번호 : 경북 아 00052 | 신문등록일 : 2007년 8월 7일 Copyright ⓒ 2009 구미일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