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 성현의 말씀에
‘하늘의 뜻을 따르는 자는 살아남을 것이요,
하늘의 뜻을 거역하는 자는 망하리라
(順天者存 逆天者亡)’고 하였다.
이게 어찌 꼭 하늘의 뜻이라고만 하겠는가.
사물의 이치(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라는 삶의 지혜를 강조한 말씀이다.
이처럼 ‘이치에 순응하는 것’을 우리는 ‘순리(順理)’라고 말한다.
그래서 우리는 순리대로 살아야 한다거나 순리대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사는 것이 순리대로 사는 것일까?
먼저 사람으로서의 ‘도리(道理)’를 다 하는 것이다.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윤리와 도덕에 충실한 삶의 태도를 취하는 것이다.
이것은 고매한 인격과 심오한 학식에 바탕을 둔 삶이 아니다.
한 인간으로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상식에 입각한 삶을 요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천리(天理)’를 따르는 것이 이치에 순응하는 것이라고 본다.
‘천리’란 하늘의 이치이기도 하지만 자연계의 이치라고 하겠다.
우리가 인식하는 자연계의 모든 현상에는
원리나 법칙을 벗어난 것이 단 한가지도 없다.
바람이 불고 구름이 떠가고 눈보라가 치고
나뭇잎이 떨어지고 꽃이 피고 열매가 익어가는 등
그 어느 하나도 자연계의 법칙을 벗어난 것은 없다.
도도히 흐르는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 보라.
쏟아지는 폭우를 막아 보라.
자연의 이치를 거역하며 산다는 것이 진실로 가능한지를.
신의 ‘섭리(攝理)’를 따르는 것이 순리이다.
인간이 스스로 발견하는 것 중에 중요한 하나가
인간능력의 한계를 깨닫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영원과 한계상황에 부딪쳤을 때에
능력의 한계를 깨닫고는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종교에 귀의하는 경우 또한 많다.
신의 섭리란 신이 이 세계를 지배 소유하면서 인간 구제의 목적으로
영원한 계획에 의하여 인도하는 질서를 말함이니
영원의 차원에서 이 질서를 거역할 수 있는 명분 또한 찾기 어렵다.
그러나 도리(道理)도, 천리(天理)도, 섭리(攝理)도
가장 인간적인 바탕 위에서, 상식의 한계에서 따를 수 있다.
이즈음에서 만 중생들의 상식적 관심인 자유도 집어보자.
出出家.
”무엇이든 오래 즐기면 중독되고
명성이나 권력은 마약과 같고,
세상에 마약을 거부하는 유전자 같은 것은 없다.
어떤 사람이든 충분히 오래 즐기면 중독되고
여성과 돈, 권력에 깊이 빠지면 중독될 수 밖에 없다.
참선의 궁극적인 목적은 파괴적인 습관
즉, 중독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그것이 해탈이다”
자유를 찾아 두 번 출가(歸俗)하신(前. 환산스님)
태오드로 준 박님의 말이다.
출가에 대한 고정적인 상(相)에서 떨어져 나와
거기에서도 또 출가를 해야겠기에
다시 새로운 출가를 감행한 것이다.
이를 출출가(出出家)라고 한다.
나는 승복을 벗은 것인가? 입은 것인가?
나는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을까?
연잎에 떨어진 물처럼 함께하되 물들지 않는 삶.
모두가 그렇게 살면 좋으련만.
태오도르 준 박님의 앞날에
부처님의 가피가 충만하길 기원하며
부처님의 관심을 전한다.
刹塵心念可數知
大海中水可飮盡
찰진심념가수지 대해중수가음진
虛空可量風可繫
無能盡說佛功德
허공가량풍가게 무능진설불공덕
우주의 먼지같이 많은 생각들을 헤아려 알고 대해의 바닷물을 다 마시고
허공을 다 헤아리고 바람을 휘어잡는 능력이 있어도
부처님의 공덕은 다 설할 수 없네.
대해보다도 더 큰 것이 마음이다.
우주보다도 더 큰 것 또한 마음이다.
경전에는 허공이 우리 마음의 큰 깨달음 속에서 나온 것이니,
마치 바다에서 물거품이 하나 일어난 것과 같다고 하였다.
우주를 창조한 것은 신(神)이 아니다. 내 마음이다.
내 마음을 모르고 살면 인간은 우주의 나그네가 되고
내 마음을 깨우쳐 알면 우주의 주인이 된다.
따라서 우주의 의미를
밖의 객관적 개체에서 찾던 것을
안의 주체적인 내 마음에서 찾는 것이 불교이다.
마음의 크기는 도저히 알 수 없는 것이다.
마음이 넓을 때는 우주를 감싸고도 남지만
마음이 좁을 때는 바늘 하나 꼽을 곳조차 용납하지 않는다.
도저히 알 수 없는 그 마음의 밑바닥까지 속속들이 남김없이 깨달아서
그 마음의 공덕을 다 지니신 분을 부처님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그 어떤 능력이 있다 해도
부처님의 공덕은 헤아릴 수 없으며, 다 설명할 수 없다.
마음과 부처와 중생은 차별이 없다[心佛及衆生 是三無差別]는
“화엄경”의 가르침에 기준을 두고, 그 모든 공덕이 결국은
모든 사람 사람들의 한결같은 마음임을 연관시켜서 생각해야 할 것이다.
부처님을 찬탄한 게송으로서 자주 등장하는 경문이다.
부처님을 찬탄함은 곧 마음을 찬탄하는 것이다.
마음을 찬탄하는 일은 곧 사람을 찬탄하는 일이며,
사람의 보고, 듣고 하는 일상적인 삶을 찬탄하는 일이다.
일상적인 삶 속에 무궁무진하고 불가사의한 작용과 능력과 신비가 있다.
이 불가사의한 인간의 신비는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만 이해된다.
알려고 노력하는 것 만큼만 보인다.
이 또한 관심에서 벗어난, 상식에서 벗어난
나에게서 벗어난 자유가 있어야 될 것이다.